재미있는 돈 이야기 (Happy Money Story) :: [라이프] 한국은행, '모바일 현금카드 서비스' 본격 실시

재미있는 돈 이야기 (Happy Money Story)

한국은행은 3일 시중은행 등 30여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가 공동으로 추진해온 은행계좌 기반의 '모바일 현금카드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서비스는 현재 플라스틱 카드를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는 현금IC카드(이하 현금카드) 서비스를 모바일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은행계좌를 보유한 사람은 누구나 모바일 현금카드 앱만 다운받으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에는 대금결제를 비롯해 CD·ATM 거래, 가맹점 내 출금, 거스름돈 계좌입금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이젠 시중은행 계좌를 보유한 사람이라면 플라스틱 현금IC카드(현금카드) 없이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ATM 등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최근 젊은 층을 대상으로 현금카드 사용 선호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모바일 기능까지 추가되며 앞으로 현금카드 사용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용자들은 자신이 예금계좌를 보유한 은행과 가맹점의 거래은행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대금 결제를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실시한 은행들간의 CD·ATM 교차 이용도 가능합니다.

 

이날부터 서비스를 실시한 은행은 SC제일, 농협, 제주, 우리, 수협 등 총 10곳입니다. 신한, 기업, 산업은행 등 6곳은 내부 전산시스템이 구축되면 곧바로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입니다.

 

특히 이 앱을 사용해서 ATM/CD기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힙니다. ATM에 있는 스마트폰 인식기에 앱을 인식시키기만 하면 어떤 은행(올해 말까지 16개 은행)에서도 스마트폰으로 현금을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도 일부 은행들이 앱으로 현금을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지만, 계좌를 보유한 은행의 ATM에서만 이용이 가능했습니다.

 

또 앱을 작동시킨 후 화면에 뜨는 QR코드나 바코드로 결제도 가능합니다. 우선 이날부터 농협하나로마트 직영매장 약 300곳에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결제 인식기로 앱을 인식하면 계좌에서 결제금액이 바로 빠져나가는 형식입니다. 올해 하반기 중에는 이마트24·미니스톱·현대백화점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질 전망입니다.

 

 

한편 지난해 평균 각각 2.07%, 1.48% 수준인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가맹점 수수료에 비해 0.3~1% 수준으로 낮은 현금카드 수수료도 가맹점들에게 환영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금카드는 신용카드와 달리 발행은행의 자금조달, 전표처리, 대손처리, 신용 평가 등에 따르는 비용이 들지 않고 가맹점으로의 대금입금 시점도 통상 3일 후에서 다음날로 앞당겨집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현금카드 서비스.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