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팬데믹(pandemic)과 세계 경제
안녕하세요. 금요일, 주말입니다.
길었던 한 주를 마무리 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확산이 좀 줄어드는가 싶더니,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고, 더욱이 유럽에서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소식에 세계 증시가 동시에 급락하는 등 세계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팬데믹' 선언
이 때문에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는 어제 약 3.9% 하락하였고, 코스피 공포지수 또한 급등했습니다. 지난 5일 2,085 포인트였던 지수가 12일 1,834 포인트까지 하락했습니다. 오늘 아침에도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약 6%가 폭락한 1,720 포인트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너무 과도한 하락 같이 보이는데 전날 밤 미국 시장의 약 10%의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문제는 앞으로인데,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전반적인 수요 감소와 공급망 중단, 교역 제한 등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코로나19가 중국과 한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확산하던 국면과 달리 WHO의 팬데믹 선언으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커졌습니다.
한편,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주식시장의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대상을 확대하는 시장 안정 조치를 내놨지만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그러자 한시적 공매도 금지와 증시안정펀드 카드를 꺼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의 공매도에 대한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이지만, 현실적인 실효성에는 의문이 들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정부가 전 종목의 공매도를 금지했을 때도 초반 주가 폭락을 막지는 못했고, 오히려 우선 공매도 금지 조치가 해제되고 나서 지수는 공매도 금지 조치 전 수준으로 원상회복했던 경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공매도 금지 조치는 시장의 불안을 어느 정도 잠재우는 심리적 효과는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세계 경제에 막대한 충격 예상
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는 최근 '코로나19의 글로벌 거시경제 영향' 이라는 보고서에서 팬데믹 상황별로 올해 세계 GDP가 최소 2조 3,300억 달러에서 최대 9조 1,700억 달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 보고서의 원문은 브루킹스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 첨부파일로 업로드 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이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팬데믹 시나리오별로 GDP 감소액을 추정했는데 가장 양호한 시나리오는 코로나19의 중국 기준 감염률이 10%, 치명률(감염자 대비 사망자수)이 2.0%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고, 올해 GDP 손실액이 가장 큰 시나리오는 감염률 30%, 치명률 3.0%의 경우인데, 이처럼 손실 추정액에 차이가 나는 것은 코로나19의 확산 수준이나 치명률, 경기 회복 속도 등 각종 가정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말은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 (The Global Macroeconomic Impacts of COVID-19)은 앞으로 코로나19의 확산 규모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며, 현재로서는 예단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때늦은 팬데믹 선언
이런 가운데 WHO는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에 팬데믹을 선포했지만, 또다시 늑장 대응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불과 며칠 전인 지난 5일만 해도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무총장은 "우리는 아직 팬데믹 상황에 있지 않다"며 선을 그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시행해 온 국내의 지역사회 전파 차단, 외국으로부터의 추가유입 억제조치를 병행하는 현행 대응 기조를 그대로 유지하되 계속해서 국내외에서 변화된 상황이 생기면 그에 맞춰 대응전략을 추가로 강화할 예정이므로 지나친 두려움은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글로벌 확산에 따른 국내 경기의 위축과 동조화 현상이 문제인데, 이 역시 이번 주말 동안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추세를 지켜보며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 코로나19와 재난 기본소득 (0) | 2020.03.20 |
---|---|
이슈 – 코로나19와 양적완화 정책 (0) | 2020.03.16 |
이슈 - 코로나19와 마스크, 그리고 주가 하락 (0) | 2020.03.09 |
이슈 - 마스크 경제학 (0) | 2020.03.06 |
이슈 - 한국은행 2020년 2월 경제전망 보고서 (0) | 2020.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