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돈 이야기 (Happy Money Story) :: [이슈] 2019년 소비양극화 지속 : 상위 20%, 월 422만원 지출해 하위의 4배

재미있는 돈 이야기 (Happy Money Story)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격차가 역대 최소로 좁혀졌지만, 소비 양극화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가구는 월 평균 246만원을 소비지출에 썼는데, 음식·숙박비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별 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지출 규모는 극과 극이었습니다.

 

월평균 1647천원 미만을 버는 소득 하위 20%(1분위)는 월평균 1024천원을 쓴 반면, 월평균 6272천원 이상을 버는 소득 상위 20%(5분위)는 월평균 4221천원을 소비해 이 두 계층의 소비차는 4.1배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1분위와 5분위의 가구 특성이 다른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1분위는 평균 가구원 수가 1.41명에 불과하고 가구주 연령은 61.9세로 높은 반면, 5분위는 평균 가구원 수가 3.30명으로 많은 대신 가구주 연령이 49.4세로 낮았습니다.

 

 

소비지출 비중을 보면 1분위의 경우 식료품·비주류음료 19.9%(203천원), 주거·수도·광열 19.5%(20만원), 보건 12.9%(132천원) 순으로 높았다. 반면 5분위는 음식·숙박 14.2%(598천원), 교통 12.8%(541천원), 교육 11.9%(504천원)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전국 가구(1인 이상)의 가구당 월평균 명목 소비지출 규모는 2457000원이었으며, 이는 가계지출에서 소득세와 같은 세금,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액수입니다.

 

지출 비중은 음식·숙박 14.1%(346000), 식료품·비주류음료 13.5%(333000), 교통 12.0%(296000), 주거·수도·광열 11.3%(277000) 순이었습니다.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소비지출이 늘어났는데, 1인 가구 1426000, 2인 가구 2074000, 3인 가구 2981000, 4인 가구 3718000, 5인 이상 가구 4074000원이었습니다.

 

지출 비중을 항목별로 보면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17.9%), 2인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16.0%)가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학생 자녀 수가 많은 4인 가구와 5인 이상 가구는 교육비 지출이 각각 15.8%, 15.1%로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통계청은 2019년을 기점으로 조사 방법과 표본이 달라져 작년 소비지출 규모가 전년 대비 어떻게 변했는지 직접 비교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통계청은 20172018년에는 가계부와 연간조사표를 함께 사용해 매달 1000가구씩 연간 12000가구(월별 1천가구씩 12개월 순환)를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작년 통계부터는 가계부만 활용해 약 7200가구를 12개월간 조사했습니다.

 

좀 더 상세한 자료는 아래의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_2019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보도자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