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2019년 소비양극화 지속 : 상위 20%, 월 422만원 지출해 하위의 4배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격차가 역대 최소로 좁혀졌지만, 소비 양극화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가구는 월 평균 246만원을 소비지출에 썼는데, 음식·숙박비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별 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지출 규모는 극과 극이었습니다.
월평균 164만7천원 미만을 버는 소득 하위 20%(1분위)는 월평균 102만4천원을 쓴 반면, 월평균 627만2천원 이상을 버는 소득 상위 20%(5분위)는 월평균 422만1천원을 소비해 이 두 계층의 소비차는 4.1배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1분위와 5분위의 가구 특성이 다른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1분위는 평균 가구원 수가 1.41명에 불과하고 가구주 연령은 61.9세로 높은 반면, 5분위는 평균 가구원 수가 3.30명으로 많은 대신 가구주 연령이 49.4세로 낮았습니다.
소비지출 비중을 보면 1분위의 경우 식료품·비주류음료 19.9%(20만3천원), 주거·수도·광열 19.5%(20만원), 보건 12.9%(13만2천원) 순으로 높았다. 반면 5분위는 음식·숙박 14.2%(59만8천원), 교통 12.8%(54만1천원), 교육 11.9%(50만4천원)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전국 가구(1인 이상)의 가구당 월평균 명목 소비지출 규모는 245만7000원이었으며, 이는 가계지출에서 소득세와 같은 세금,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액수입니다.
지출 비중은 음식·숙박 14.1%(34만6000원), 식료품·비주류음료 13.5%(33만3000원), 교통 12.0%(29만6000원), 주거·수도·광열 11.3%(27만7000원) 순이었습니다.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소비지출이 늘어났는데, 1인 가구 142만6000원, 2인 가구 207만4000원, 3인 가구 298만1000원, 4인 가구 371만8000원, 5인 이상 가구 407만4000원이었습니다.
지출 비중을 항목별로 보면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17.9%), 2인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16.0%)가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학생 자녀 수가 많은 4인 가구와 5인 이상 가구는 교육비 지출이 각각 15.8%, 15.1%로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통계청은 2019년을 기점으로 조사 방법과 표본이 달라져 작년 소비지출 규모가 전년 대비 어떻게 변했는지 직접 비교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통계청은 2017∼2018년에는 가계부와 연간조사표를 함께 사용해 매달 1000가구씩 연간 1만2000가구(월별 1천가구씩 12개월 순환)를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작년 통계부터는 가계부만 활용해 약 7천200가구를 12개월간 조사했습니다.
좀 더 상세한 자료는 아래의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_2019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보도자료).pdf
'최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네이버, 유료회원제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6월 출시 예정 (0) | 2020.05.11 |
---|---|
[이슈] 네트워크, 새로운 시대의 중심에 서다 (0) | 2020.05.09 |
[이슈]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 (0) | 2020.05.08 |
이슈 – 이재용 부회장 대국민 사과, "경영권 물려주지 않겠다" (0) | 2020.05.06 |
이슈 – 선거 후 긴급재난 지원금 지원 기준은?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