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돈 이야기 (Happy Money Story) :: [이슈] 정부, 제3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 개최

재미있는 돈 이야기 (Happy Money Story)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늘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였습니다.

 

이 회의에서 홍남기 부총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쇼크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부문 중심으로 일자리 156만개를 만들어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기정예산에 의한 공공부문 일자리 945000개 중 코로나19로 추진되지 못했던 자활근로사업 등 약 60만개 일자리에 대해 최대한 비대면, 야외작업 등으로 전환하겠다"사업절차 간소화 등 집행상 탄력성을 최대한 허용해 신속 재개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 외에도 청년층 경력개발에 도움 되는 공공분야 비대면 디지털 일자리 10만개, 민간 분야 청년 디지털 일자리 5만개, 청년 일경험일자리 5만개, 취약계층 일자리 30만개, 중소기업 채용보조금 5만명 등 직접 일자리 55만개+a(알파)를 추가로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또한 홍남기 부총리는 "시험 연기 등으로 4월까지 19,000명 채용에 그친 공무원 채용 절차를 당장 이달부터 재개해 빠른 시일 내 48,000명을 채용해나갈 계획이다"며, "고용 대책을 이번 주와 다음 주 회의에서 논의해 확정할 방침으로 소요 재원은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하겠다"고 했습니다.

 

한편 홍남기 부총리는 전날 발표된 4월 고용동향에 대해 "임시일용직 등 취약한 일자리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뚜렷하고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충격파가 집중된 모습이나 점차 제조업 등으로 전이되는 양상도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는 일자리 상실은 물론 고용시장 전반에 큰 충격과 변화를 야기하고 있어 긴급 일자리 대책과 함께 고용제도의 보완적 재설계도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홍남기 부총리는 "앞으로 특수고용직 노동자 등에 대한 보호 강화 등 전 국민 고용안전망 구축을 위한 토대 작업을 경제중대본 중심으로 검토해 나가겠다"며, "한국판 뉴딜 추진과 연계해 고용정책도 디지털 친화형으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보도자료.pdf

(별첨1) 공공부문 중심 고용충격 대응방안(I).pdf

(별첨2) 감염병 대응 산업 육성 방안.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