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네이버 멤버십' 오픈과 '네이버 통장' 출시 연기
네이버 멤버십 오픈
오는 6월 1일 선보이는 구독형 유료회원제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가격이 월 49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첫 달은 무료입니다. 네이버는 지난 11일부터 진행된 사내 베타테스트와 내부 의견수렴을 통해 가격을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은 네이버가 선보이는 첫 유료회원제 서비스입니다. 가입회원은 월 4900원으로 1만2000원 상당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과 최대 5% 포인트 적립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네이버 멤버십 유료회원에 가입하면 '네이버웹툰·시리즈' 쿠키 20개, '바이브' 음원 300회 듣기, '시리즈온' 영화·방송 감상용 캐시 3300원, '네이버클라우드' 100GB 이용권, 오디오북 대여 할인쿠폰 중 4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서비스 이용요금은 2000~3300원 수준입니다.
일정 금액 추가 시 콘텐츠 혜택 업그레이드도 가능합니다. '바이브' 음원 300회 듣기 혜택을 선택한 회원이 월 3850원을 추가 지불하면 '월간 스트리밍 무제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네이버 클라우드 이용권을 선택한 이용자는 2200원 또는 7700원을 더해 각각 200GB, 2TB로 추가 용량 변경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최대 5%에 달하는 적립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쇼핑 시 네이버 페이로 결제하면 기본 1% 적립에 추가적으로 4% 적립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웹툰을 미리 볼 수 있는 쿠키를 매달 20개(2000원) 이상 구매하고 네이버 페이로 월 7만 원 이상 결제(4% 포인트 적립 2800
원)하는 사람은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월 4900원은 결제와 콘텐츠 혜택을 포함한 유사한 경쟁 서비스와 비교하면 반값 수준입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구독경제시장 장악에 나섰다고 보고 있습니다. 애초 업계에서는 이번 유료회원제 가격을 8000~1만원 수준으로 예상했습니다.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 혜택의 가치와 시장경쟁력을 감안한 가격입니다. 하지만 네이버는 예상을 깨고 '반값' 승부수를 던졌습니다.
높은 월 이용료로 인한 수익 창출보다는 저렴하게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해 플랫폼 ‘록인 효과(이용자를 묶어두는 것)’를 노리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으로 보입니다.
네이버 통장 출시 연기
한편 네이버의 본격적인 금융시장 진출 신호탄인 '네이버 통장'의 출시가 다음 달로 연기되었습니다. 네이버 통장은 네이버의 금융 전문 자회사인 네이버 파이낸셜이 전략적 협력 관계인 미래에셋대우와 손잡고 만드는 비대면 CMA입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29일 "네이버 통장 오픈 시점을 연기하게 됐다"며, "안정성과 사용성 측면에서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점검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네이버는 이달 말 비대면 가입을 개시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으나, 첫 금융상품이다 보니 막판 준비와 미래에셋대우와의 협업 과정에서 예정보다 시간이 더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6월 중순쯤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통장은 네이버 페이 전월 결제 실적을 기준으로 최대 연 3%(세전) 수익을 돌려줍니다. 전월 네이버 페이 결제 실적이 월 10만원을 넘으면 연 3%, 월 10만원 미만이면 연 1%입니다. 연 3% 수익률 적용 한도는 100만원까지로, 100만원~1천만 원까지는 연 1%, 그 이상은 연 0.5%가 각각 적용됩니다.
네이버통장으로 페이 포인트를 충전한 다음 네이버쇼핑·예약·디지털 콘텐츠 구매 등에서 결제하면 기존보다 0.5%포인트 높은 최대 3%까지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타행 송금도 횟수 제한 없이 무료입니다.
네이버 파이낸셜은 CMA 통장을 필두로 올해 하반기에 투자상품·보험·예적금 등 금융상품을 줄줄이 내놓을 예정입니다. 네이버가 축적한 데이터와 기술을 금융 상품에 접목해 본격적인 테크핀 사업을 펼치겠다는 전략입니다.
※용어 설명 : 테크핀(Techfin)
국내에서는 금융의 디지털 혁신과 관련하여 대부분 '핀테크'라 말하기 때문에, '테크핀'이라는 용어가 어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중국 등 외국에서는 이미 '테크핀'과 '핀테크'를 구분해 사용해왔습니다.
'테크핀(Techfin)'은 성장한 IT기업들이 주도하는 금융서비스로, 알리바바 마윈 회장이 지난 2016년 12월 가장 먼저 사용했습니다. 그는 당시 "중국은 5년 안에 '현금이 필요 없는 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며, "기술로 기존 금융 시스템을 재건한다"면서 테크핀 개념을 설명했습니다.
또 지난 2018년 미국에서 열린 세미나 'Money2020'에서 크리스 스키너 FSC(Financial Services Club) 의장은 "핀테크 기업들이 기존의 거래구조를 기반으로 어떻게 하면 더 저렴하고 빠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에 반해, 테크핀 기업들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이것이 어떻게 상업과 거래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 고민한다"면서, 핀테크와 테크핀의 차이를 강조한 바 있습니다.
현재 대표적인 글로벌 테크핀 기업으로는 구글, 아마존, 알리바바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이 꼽힙니다. 최근 카카오와 네이버는 전자간편결제(페이)사업을 시작으로, 송금·증권·대출·보험 등 금융 전반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토스도 지난해 말, 인터넷 전문은행 인가와 함께 증권사, 보험업 등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프] LTE폰 다시 인기, 중저가폰 치열한 가성비 대결 (0) | 2020.05.31 |
---|---|
[라이프] 오늘은 2020 바다의 날 (0) | 2020.05.31 |
[라이프] 에픽게임즈, '보더랜드 THC' 게임 무료 제공 (0) | 2020.05.30 |
[라이프] 하나원큐 K리그1 2020 4라운드 프리뷰 - 매치, 팀, 플레이어 오브 라운드 (0) | 2020.05.29 |
[라이프] 국가기술자격 취득 증명도 온라인 '아포스티유' 서비스 시작 (0) | 2020.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