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KDI 경제전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거시경제 경로 전망'
아래의 내용은 2020 상반기, 'KDI 경제전망'입니다.
KDI 경제전망실에서 5월 20일 발표한 자료입니다. 첨부 파일과 동영상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로 우리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현재까지 주로 서비스업이 위축되며 경제성장률은 1.3%까지 하락했는데요, 코로나19 확산이 단기간에 종식된다면 서비스업이 회복하면서 경기가 반등하겠지만 확산이 장기화된다면 글로벌 경기침체로 이어져 내구재 소비와 기업의 투자가 위축되고 특히, 투자와 밀접한 자본재와 중간재를 주로 수출하는 제조업 중심의 우리 경제는 다른 나라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KDI는 코로나의 지속 기간에 따라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해 우리 경제가 어떻게 될지 전망해봤습니다. 먼저 국내에서는 상반기, 해외에서는 하반기부터 코로나19 확산이 점차 잦아든다면 2020년에는 0.2%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상반기에 위축됐던 내국인 국내소비는 하반기에 대부분 해소되지만, 국가 간 이동이 천천히 풀리면서 내국인의 해외소비와 외국인의 국내소비는 내년까지 부진하겠습니다.
수출은 하반기에 해외 기업들의 투자가 다시 살아나면서 부진이 조금씩 나아지겠습니다. 하반기까지 국내 경제활동이 정상화되더라도 고용은 시차를 두고 내년에야 회복되고 내년까지는 GDP가 기존 경로에 이르지 못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으로, 치료방법과 백신 개발로 코로나19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둔화된다면 1.1%까지 성장할 수 있습니다.
국가 간 이동을 기피하는 심리가 남아있어 국내외 여행객들의 소비는 올해 말까지 부진하겠지만, 글로벌 투자가 회복되면서 국내 소비, 수출, 고용은 하반기에 반등할 수 있어 GDP는 2020년 말에 기존 경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에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된다면 경제심리가 계속 위축돼 성장률은–1.6% 까지 떨어지겠습니다. 수출은 급격히 위축됐다가 내년에야 천천히 회복되고, 소비는 내년까지 부진하겠는데요, 취약한 기업과 가계가 파산하고 대규모 실직까지 발생하면 부실대출로 금융시장까지 자금경색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결국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경기가 더디게 회복되고 경제전반의 생산성까지 떨어져 GDP는 2021년에 기존 경로를 크게 밑돌고 중장기적으로 하향 조정될 수 있습니다.
'최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1인당 국민부담액, 지난해 1000만원 넘어 (0) | 2020.05.26 |
---|---|
[이슈] 정부, 2020 국가재정전략회의 개최 (0) | 2020.05.25 |
[이슈] '증세' 논의 시작하나, 국가채무비율 45% 육박 (0) | 2020.05.24 |
[이슈] 통계청, 2020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발표 (0) | 2020.05.22 |
[이슈] 정부, 제4차 비상경제회의 개최 (0) | 2020.05.20 |